목록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116)
navis
학습개요정보화 사회에서 네트워크는 원활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기 위한 핵심 기반기술에 해당되며,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도 당연히 네트워크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인간과 컴퓨터 간의 통신이 주를 이루던 정보화 사회에도 네트워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였지만, 사물까지 연결해야 하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네트워크는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기술 요소가 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개념 및 구조를 익히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공부한다. 학습목표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어떤 네트워크 기술 요소가 필요한 이유를 유비쿼터스 사회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통해서 이해한다.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개념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한다.유비쿼터스 시대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
학습개요컴퓨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통신의 전송 기술을 3번의 강의에서 설명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마지막으로 본질적으로 매우 유사한 흐름제어, 혼잡제어, 그리고 라우팅이라는 데이터 전송 기술에 대하여 공부한다. 즉, 컴퓨터 통신에서는 특정 중간 영역에 많은 데이터가 집중되어 정체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흐름제어 및 혼잡제어에 대해 학습한다. 그리고 데이터가 데이터의 발신지에서 수신지까지 정확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우팅(routing; 경로배정)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학습목표흐름제어와 혼잡제어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흐름제어의 4가지 원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혼잡제어의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라우팅 방법을 나열할 수 있다. 주요용어흐름제어 : 송신 블록 수, ..
학습개요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다양한 응용서비스 개발이 가능한데, 각 응용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장비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장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세부 기술들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하는데, 본 장에서는 이 중 나노 기술 및 전지 기술에 대하여 공부한다. 학습목표미래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주요 분야로 인식되는 나노 기술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나노 기술의 산업적 · 경제적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나노 기술의 발전 과정과 학제간 연구가 필요한 나노 기술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전지의 원리와 차세대 전지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정리하기나노 기술의 정의: 원자나 분자를 적절하게 결합시켜 새로운 미세한 구조를 만들어내어 기존 물질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물질을 ..
학습개요컴퓨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통신의 전송 기술을 3번의 강의에서 설명하고 있는데, 이번은 두 번째 강의로서 주소지정과 오류제어에 관하여 공부한다. 즉, 컴퓨터통신망에서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주소지정 방식과 데이터 통신의 오류검출 및 오류정정 등 오류를 제어하는 방식들에 대해서 공부한다. 특히, 오류제어 기능은 매우 중요하므로 잘 이해하고 정리하기 바란다. 학습목표주소지정 방식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고 분류할 수 있다.오류의 개념과 오류제어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다양한 오류검출방식으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귀환오류제어 및 전진오류정정을 설명할 수 있다.3가지 종류의 ARQ 오류제어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주요용어주소지정 : 컴퓨터통신망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물리주소 : ..
학습개요인간과 사물이 지능화되고 고도화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세부 기술들이 결합되어 새로운 유비쿼터스 세상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디바이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주요 기술 요소인 SoC(System on Chip), 미세 전자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 기술 등을 공부한다. 학습목표소형화 지능화가 요구되는 미래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기술인 MEMS 기술의 개념과 MEMS 기술의 발달과정을 이해할 수 다.반도체 기술과 비교하여 MEMS 기술의 특징을 이해할 수 다.MEMS 기술의 다양한 응용 분야를 이해할 수 있다.SoC 기술의 장담점과 기술개발 현황을 이해할 수 있다. 정리하기SoC 기술 :칩..
학습개요컴퓨터 통신망에서 데이터 통신은 다양한 통신 기능을 통해 이루어진다. 통신 기능은 데이터 교환, 다중화, 동기화, 주소지정, 오류제어, 흐름제어, 경로배정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통신 기능들을 3번의 강의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이번 강의에서는 데이터 교환 방식, 다중화, 동기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학습목표데이터 교환 방식의 종류와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다중화 방식을 비교 설명할 수 있다.동기화의 개념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주요용어회선(circuit) : 설정된 통신경로의 집합회선 교환 : 호스트들 간에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경로 상에 필요한 자원들을 미리 할당하고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할당된 자원을 해제연결지향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