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5 (24)
navis
1강: 운영체제 개요운영체제 정의 운영체제(OS)는 컴퓨터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이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입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핵심 자원인 CPU,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입력 및 출력 장치 등을 관리합니다. 모드 커널 모드(Kernel Mode):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인 커널이 실행되는 모드로,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할 수 있습니다. 커널 모드에서는 모든 명령을 실행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안전성과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모드입니다. 사용자 모드(User Mode):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모드로,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할 수 없으며, 시스템 호출(System Call)을 통해 커널에 요청합니다. 사용자 모드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3MFCU/btsHDNjCsQU/703voNtKBTkv3jUhpFGink/img.png)
1. 목차환경설정모델 : VITON-HD코드변경기존 test.py 수정추론 결과결과 확인최종 결과2. 환경 설정AI 모델 테스트 환경Ubuntu 22.04(워크스테이션)AnacondaVS CodePython 3.8.18환경설정git clone conda install pytorch==1.6.0 cudatoolkit=9.2 -c pytorchpip install torchvisionpip install opencv-python torchgeometrypip install fastapi uvicorn aiofiles && conda install -c conda-forge ffmpeg3. VITON-HDhttps://github.com/shadow2496/VITON-HD1. 모델 (VITON-HD)Abst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JdFS/btsHBTS5dNm/QIxYq1LYMlDkbPYh7mWID0/img.png)
1강 컴퓨터의 이해문제 1: 다음과 같이 어떤 문제(라면끓이기)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를 무엇이라고 하는가?정답: 4 ( 알고리즘 )문제 2: ‘방송대 컴퓨터과학과의 파이썬 프로그래밍 기초는 전공 과목이다’ 라고 할 때, ‘전공’이라는 설명은 어떤 유형의 데이터에 속하는가?정답: 2 ( 범주적 데이터 )문제 3: 표현의 모호성을 제거하고 자연어와 유사한 형태의 문법을 갖는 프로그래밍 언어는?정답: 3 ( 3세대 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란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얻은 수치, 문자와 같은 변할 수 있는 질적 또는 양적 값을 뜻한다.정보란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제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데이터를 정리한 결과물을 뜻한다. 데이터 처리에는 정렬, 합산, 군집화 등의 작업이 동반된다.데이터는 현상으로부터 관찰 및 측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DlPNc/btsHBnf46Ie/RDcMpAHN4JLNVPqaEh5VFK/img.png)
1강 JAVA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문제 1: Java 언어의 특징 중에 다음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똑같은 바이트코드가 Java 플랫폼이 설치된 다양한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에서 수정없이 실행될 수 있다. 정답: 2 ( 플랫폼에 독립적 )문제 2: 다음 파일의 이름은 A.java 이다. 이 파일을 컴파일할 때 결과로 만들어지는 것을 정확히 설명한 것은? public class A { }class B { }정답: 3 ( A.class와 B.class가 생성된다. ) 문제 3: “Hello, World!”를 화면에 출력하는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정답: Java 프로그램의 기본 구성단위는 클래스이다.Java에서는 변수의 자료형에 대한 검사가 엄격하다.Java 프로그래밍을 위해서 JDK를 설치해야 한다..
1강 알고리즘 소개 (1)1. 기본 개념알고리즘: 문제 해결이나 함수를 계산하기 위해 따라야 할 명령어들을 단계적으로 나열한 것.조건:입출력: 명확히 정의된 입력과 출력.명확성: 각 단계가 명확해야 함.유한성: 한정된 시간 내에 종료.유효성: 실질적으로 실행 가능.효율성: 실용적 관점에서 중요.2. 알고리즘 설계알고리즘 생성 과정: 설계 → 표현(기술) → 정확성 분석 → 효율성 분석.대표적인 설계 방법:욕심쟁이 방법: 각 단계에서 국부적으로 최선의 선택을 하는 전략.한계: 국부적 최적해가 전체 최적해를 보장하지 않음.적용 알고리즘/문제: 거스름돈 문제, 배낭 문제, 최소 신장 트리(크루스칼, 프림), 단일 출발점 최단 경로(데이크스트라).거스름돈 문제: 고객에게 최소 개수의 동전을 돌려주는 문제. 동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dRSB/btsHDHDvnVs/T4gnwK8vRINPYZrF6mune0/img.png)
1강 인공지능의 개요 문제 1: 다음 중 물리적 기호시스템 가설의 의의에 해당되는 것은? 정답: 2 ( 인간이 행하는 지능적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하다는 믿음의 근거이다. ) 해설 : 물리적 기호시스템 가설이란 앨런 뉴웰과 허버트 사이먼이 “물리적 기호 시스템은 일반적인 지능적 행동을 위한 필요 충분한 수단을 가지고 있다”라고 제시한 가설로서, 인간이 행하는 지능적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근원이다.문제 2: 지식을 어떻게 체계화하고 지식 베이스에 축적하며, 축적된 지식을 어떻게 이용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을 일컫는 것은? 정답: 1 ( 지식공학 ) 해설 : 지식공학은 지식을 체계적 수집하여 지식베이스를 구축하는 것, 축적된 지식을 이용한 추론 과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