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is

파이썬 (기말 준비) 본문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파이썬 (기말 준비)

menstua 2024. 5. 26. 14:45
728x90

1강 컴퓨터의 이해

문제 1: 다음과 같이 어떤 문제(라면끓이기)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4 ( 알고리즘 )

문제 2: ‘방송대 컴퓨터과학과의 파이썬 프로그래밍 기초는 전공 과목이다’ 라고 할 때, ‘전공’이라는 설명은 어떤 유형의 데이터에 속하는가?

정답: 2 ( 범주적 데이터 )

문제 3: 표현의 모호성을 제거하고 자연어와 유사한 형태의 문법을 갖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정답: 3 ( 3세대 프로그래밍 언어)

 

  1. 데이터란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얻은 수치, 문자와 같은 변할 수 있는 질적 또는 양적 값을 뜻한다.
  2. 정보란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제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데이터를 정리한 결과물을 뜻한다. 데이터 처리에는 정렬, 합산, 군집화 등의 작업이 동반된다.
  3. 데이터는 현상으로부터 관찰 및 측정을 통해 얻어지며, 정보는 데이터를 처리 및 가공하여 추출된다.
  4. 컴퓨터란 입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계로,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순서화하여 전체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5. 컴퓨터는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입력기능, 내부 장치를 조정하는 제어기능,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기억기능, 계산을 수행하는 연산기능, 내부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출력기능을 갖추고 있다.
  6. 디지털 컴퓨터는 0과 1이라는 신호만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데이터 및 명령문 또한 0과 1로 표현되어야 한다. 즉, 수나 문자, 명령어 모두 0과 1로 표현된다.
  7. 프로그램이란 컴퓨터가 어떠한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처리 방법 및 순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기술해 놓은 것을 뜻한다.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사람을 프로그래머라고 하며, 이 제작 과정은 프로그래밍이라 부른다.
  8. 알고리즘은 문제를 풀기 위한 단계별 절차를 수학적으로 기술한 것을 뜻한다. 알고리즘에는 입력과 출력이 있어야 하며, 명확성과 유한성, 효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9.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구현한 결과이며,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를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를 통해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생성된다.

 


2강 컴퓨터의 구성

문제 1: 폰 노이만 구조에 기반한 컴퓨터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정답: 4 ( 판단장치 )

문제 2: 다음 그림과 같이 안경 또는 헬멧과 같은 장치를 머리에 착용하여 현실 세계와는 차단된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장치는?

정답: 1 ( HMD )

문제 3: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소프트웨어는?

정답: 2 ( 유틸리티 )

 

 

  1. 컴퓨터는 물리적 장치인 하드웨어와 논리적 장치인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2. 일반적으로 하드웨어는 사람이 정보처리를 하는 역할과 유사하게 입력장치, 연산장치, 기억장치, 출력장치, 제어장치로 구분된다.
  3. 현대의 컴퓨터는 정보와 정보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처리하는 폰 노이만 구조에 기반한다.
  4. 입력장치는 외부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장치이며 출력 장치는 입력장치를 통해 중앙처리장치로 들어온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
  5. 중앙처리장치는 연산, 비교, 판단을 수행하는 연산장치와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6. 주기억장치는 컴퓨터에서 처리할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처리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이며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를 보완하여 컴퓨터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컴퓨터를 켰을 때,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불러 올 수 있도록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7.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고 하드웨어를 제어·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 소프트웨어이다.
  8. 시스템 소프트웨어 종류에는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운영·관리·사용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운영체제,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해 주는 컴파일러, 그리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유틸리티 등이 있다.
  9. 운영체제는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와 같은 장치로 구성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컴퓨터와 사용자 사이에 중계 역할을 한다.

3강 파이썬의 이해      

문제 1: 다음 중 파이썬의 장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정답: 2 ( 빠른 실행 속도 )

문제 2: 파이썬 프로그램이 플랫폼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가)와 같이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중간 언어로 만드는 것은? 

정답: 1 (바이트 코드)

문제 3: 파이썬 프로그래밍 환경 중 오픈소스이며 문서화가 쉽고 전통적인 소스코드-컴파일-실행 방식에서 벗어나 웹 기반 대화형 개발 및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정답: 3 ( 주피터 노트북)

 

 

  1. 파이썬은 히도 판로쉼(Guido van Rossum)에 의해 1991년 분산 운영 체제(아메바)의 시스템 관리를 위한 쉘 스크립팅 언어로 개발되었다.
  2. 파이썬은 명령형 프로그래밍, 절차적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지원한다.
  3. 파이썬은 교육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과 웹, 백 엔드 개발, 사물 인터넷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4. 파이썬은 파이썬 확장 제안(PEP)를 통해 새로운 파이썬의 기능, 파이썬 프로세스, 환경에 대해 커뮤니티에 설계 문서나 정보를 제공하는 등 많은 개발자의 의견을 수용하고 토론하며 발전한 언어이다.
  5. 파이썬은 플랫폼에 독립적이며 인터프리터식 객체지향적, 동적 타이핑(dynamically typed) 대화형 언어이다.
  6. 파이썬 소스 코드는 파이썬 인터프리팅 과정에서 CPython에 의해 바이트 코드로 변환되고, 파이썬 가상머신(PVM)이 한 라인씩 기계어 코드로 변환하여 실행된다.
  7. 파이썬 개발 환경에는 구문 강조, 자동 완성, 스마트 들여쓰기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IDLE, 주피터 노트북, 구글 코랩 등이 있다.
  8. 구글 코랩(Colab)은 주피터 노트북과 구글 드라이브를 결합한 서비스로 데이터 분석 및 딥러닝 연산 등 고성능 컴퓨팅 리소스 활용 가능하다.

4강 파이썬 시작하기      

문제 1: 다음과 같은 실행 결과를 얻기 위한 파이썬 코드로 올바른 것은?

'Computer science is the best'

'Our goal is to predict the future'

 

정답: 2 (

print("Computer science is the best")

print("Our goal is to predict the future")

)

문제 2: 다음 중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정답: 3 ( 270mm )

문제 3: 다음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로 올바른 것은?

정답: 1 ( 0 )

 

 

  1. 파이썬은 히도 판로쉼(Guido van Rossum)에 의해 1991년 분산 운영 체제(아메바)의 시스템 관리를 위한 쉘 스크립팅 언어로 개발되었다.
  2. 피연산자와 기본연산자(+, -, *, /, **)를 이용한 표현식은 파이썬 인터프리터에 의해 자동 계산된다.
  3.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의 집합으로 함수의 이름만으로 실행할 수 있는 단위를 함수라고 한다.
  4. 파이썬은 들여쓰기에 의존적 언어이며 코드의 논리적 집합인 블록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5. 주석은 개발 속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중요한 설명이다. 주석은 #과 """을 사용한다.
  6. 처리할 데이터와 처리된 결과의 임시적 저장에 변수가 사용되며 할당연산자의 왼쪽에 정의한다.
  7. 식별자는 프로그램 내부에 정의된 객체(변수, 함수 등)의 이름이다.
  8.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만 사용되는 산술연산자로 정수 나눗셈 연산자(//) 모듈로 연산자(%)가 있다.
  9. 연산자 우선순위는 표현식에 사용된 여러 연산자의 연산 순서를 결정한다.
  10. 파이썬 내장 함수는 별도의 모듈이나 패키지 없이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함수이다.

5강 순차 구조

 

문제 1: 다음은 어떤 제어구조에 대한 설명인가?

특정 영역 내의 명령문에 대한 실행 여부를 프로그램 실행 과정 중 조건에 따라 결정하는 구조

정답: 1 ( 선택 구조 )

 

문제 2: number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정수를 사용하여 “상자에사과가n개들어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려고 한다. 올바른 명령문은? (단, n은 number 변수에 저장된 정수를 의미한다.)

 

정답: 2

문제 3: ‘논리적으로 실행 불가능한 명령문 작성 시 발생’ 오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2 ( 실행 오류 )  

 

  1. 파이썬은 구조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지원하며 goto 문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는 순차, 선택, 반복 구조를 제공한다.
  2. 순차 구조는 실행의 흐름을 주어지는 명령의 위치적 흐름에 따라 수행하는 구조이다.
  3. 선택 구조는 특정 영역 내의 명령문에 대한 실행 여부를 프로그램 실행 과정 중 조건에 따라 결정하는 구조이다.
  4. 반복 구조는 특정 영역의 명령문을 조건에 따라 여러 번 재실행하는 구조이다.
  5. input 함수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아, 문자 데이터 타입으로 반환한다.
  6. 프로그래밍 에러는 설계 미숙, 결함 또는 문법 오류로 프로그램이 의도한 대로 결과를 생성하지 못하는 현상이며 구문 오류, 실행 오류, 의미 오류로 구분된다.
  7.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전환하기 위해 str, int, float 함수를 사용한다.
  8. print 함수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단일 print 함수로 출력 가능하며, 콤마(,)로 파라미터를 구분하여 입력한다.

6강 선택 구조    

문제 1: 파이썬에서 명령어의 논리적 집합인 명령 블록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은?

정답: 2 ( 들여쓰기 )

문제 2: 다음은 온도(temp)가 0 이하일 경우 “겨울입니다.”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밑줄 친 빈 칸에 들어갈 명령문은?

정답: 4

문제 3: 다음은 사용자가 입력한 수가 3과 5의 공배수일 경우 “3과 5의 공배수입니다”를, 아닐 경우 “3과 5의 공배수가 아닙니다.”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일 일부이다. 밑줄 친 빈칸에 들어갈 연산자는?

정답: 1 

 

  1. 선택 구조란 특정 영역 내의 명령문에 대한 실행 여부를 조건에 따라 판단하여 결정하는 구조이다.
  2. 선택구조의 실행 여부를 표현하는 조건은 참(True)과 거짓(False)으로 결정되는 불리언식을 사용하며, 불리언식은 비교연산자를 사용하여 결과가 불리언 타입으로 생성되는 표현식이다.
  3. 불리언 타입은 논리값인 참(True)과 거짓(False)의 값만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이다.
  4. 논리연산자는 두 개의 논리값(불리언식)을 연산하여 참 또는 거짓을 결과로 얻는 연산자이다.
  5. 단락평가란 첫 번째 논리값 만으로 전체 연산 결과가 판별 가능할 때 두 번째 논리값은 확인(평가)하지 않는 기법이다.
  6. if, elif, else 명령어를 사용하여 이분 또는 다분 선택구조로 확장할 수 있다.
  7. 중첩 선택구조는 한 선택구조 내부에 또 다른 선택구조를 내포하는 구조이다.

7강 반복 구조

문제 1: 계수 제어 반복 구조에서 특정 반복 횟수와 반복 시 계수의 값을 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은?

정답: 3 ( 시퀀스)

 

문제 2: 다음과 같이 반복 구조 내부에 또 다른 반복 구조가 포함되어 실행 흐름을 만드는 구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4 ( 중첩 반복 구조 )

문제 3: 다음 코드의 출력값으로 옳은 것은?

정답: 4 ( 1 2 3 4 5 6 7 8 9 10 )

 

 

  1. 반복 구조란 동일한 명령문에 대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횟수만큼 또는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동일한 코드를 반복하여 수행할 때 사용하는 구조이다.
  2. whlie 문은 조건이 참(True)인 동안 while 문 블럭 내부의 명령문을 수행하며 조건이 거짓(False)이 될 때 while문을 빠져나오는 조건 제어 반복 구조이다.
  3. 리스트는 순서화된 값의 집합체를 저장할 수 있는 시퀀스 데이터 타입의 일종이다.
  4. for 문은 리스트 등과 같은 시퀀스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하나씩 변수에 대입하여 블럭의 명령문을 수행하며 마지막 요소까지 수행한 후 종료하는 계수 제어 반복이다.
  5. 중첩 반복 구조는 하나의 외부 반복 구조에 여러 개의 내부 반복 구조가 중첩되어 사용되는 구조를 말하며, 외부 반복 구조가 매 반복될 때마다 내부 반복 구조에 재진입하여 새롭게 실행된다.

9강 함수

문제 1: 다음 중 반환값에 따른 함수의 종류를 구분할 때,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정답: 1 ( print)

문제 2: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는?

 

정답: 2 ( 27 )

문제 3: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는?

 

정답: 1 ( 1 )

 

  1. 함수란 특정 작업을 함수의 이름 만으로 수행하는 명령문의 집합을 말한다.
  2. 반환값의 유무에 따라 반환값이 없는 함수와 반환값이 있는 함수로 구분된다.
  3. 반환값이 없는 함수는 함수 실행 후 어떤 값도 남기지 않는 함수이다. 반면 반환값이 있는 함수는 함수 내부에서 return 명령어를 통해 값을 남긴다.
  4. 동시 할당이란 복수 개의 변수에 값을 동시에 할당하는 연산이다. 이를 통해 단일 명령문으로 변수의 값을 맞바꿈이 가능하다.
  5. 값의 전달에 의한 호출이란 함수 호출 시 함수 내부에는 매개변수의 값이 전달된다.
  6. 변수의 스코프는 프로그램에서 변수가 참조될 수 있는 영역이다. 변수의 스코프에 따라 변수는 전역변수와 지역변수로 구분된다.
  7. 기본 매개변수란 함수 호출 시 매개변수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기본값이 전달되는 매개변수를 말한다.
  8. 함수 호출 시 매개변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 만큼 지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를 가변 매개변수라고 하며, 함수 정의 시 매개변수 이름 앞에 *를 사용한다.

10강 객체지향

문제 1: 다음 중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정답: 4 ( 개방화  )

문제 2: 다음 코드의 빈 칸에 공통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은?

 

정답: 2 ( self )

문제 3: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는?

정답: 3 ( "I LIVE PYTHIN"  )

 

  1. 객체와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객체지향이라고 한다.
  2.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특징에는 추상화, 캡슐화, 상속, 다형성이 있다.
  3. 클래스는 실세계의 사물에 대한 상태(데이터)와 연산(메소드)을 표현한 단위이다.
  4. 클래스는 객체의 행동을 정의하는 메소드와 객체의 상태를 초기화하는 특수 메소드로 구성된다.
  5. 모든 메소드의 첫 번째 매개변수는 self이다.
  6. 클래스의 생성자(constructor)호출을 통해 클래스의 인스턴스인 객체가 생성된다. 클래스의 생성자는 클래스의 이름과 동일하며 초기자의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7. 객체의 데이터 필드 접근 및 메소드 호출에 객체 멤버 접근 연산자( . )를 사용한다.
  8. 객체의 데이터 필드의 직접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직접적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데이터 은닉을 사용한다.
  9. private 데이터 필드는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하며 앞 두 밑줄(__)로 정의한다.
  10. private 데이터 필드에 대해 접근하기 위한 접근자 변경자 메소드가 정의되어야 한다.

 

11강 모듈

문제 1: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클래스, 함수, 상수(변수)의 집합

정답: 4 ( 모듈 )

문제 2: 다음 중 모듈 사용과 관련된 명령어가 아닌 것은?

정답: 3 ( module )

문제 3: (a)에서 option 리스트의 값 중 하나가 무작위로 선택되어 com에 할당하도록 빈 칸 □에 들어갈 알맞은 코드는?

정답: 2 ( random.choice(options) )

 

 

  1. 모듈은 함수, 상수 또는 클래스를 모아 놓은 집합체이다.
  2. 모듈, 패키지, 라이브러리는 구분되는 개념이며 패키지는 하위 패키지 및 모듈의 집합, 라이브러리는 패키지 및 모듈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상위 개념이다.
  3. 모듈 등록 시 import 구문과 from import 구문을 사용한다. import 구문을 통해 등록된 모듈은 사용시 모듈이름 또는 별칭을 변수/함수/클래스 앞에 붙여야 한다.
  4. import는 파이썬 모듈을 프로그램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게 네임스페이스에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5. dir 함수는 네임스페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이름들을 리스트로 반환한다.
  6. help 함수는 대화형 도움말 시스템 호출 또는 클래스나 메소드의 사용방법을 반환한다.
  7. 네임스페이스는 특정 객체를 이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8. del 명령어는 네임스페이스 내 등록된 모듈의 멤버 식별자를 제거한다.
  9. math 모듈은 수학적 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학 함수 및 상수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10. random은 난수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11. time은 에포크 시간을 얻어 다양한 형식으로 표시하는 기능 제공하는 모듈이다.

12강 파일

문제 1: 데이터를 구성하는 개별 문자를 인코딩 체계를 통해 바이트로 변경하여 연속적으로 저장한 파일의 종류는?

정답: 3 ( 텍스트 파일  )

문제 2: 시퀀스에서 각각의 항목을 순서대로 한 번씩만 방문하는 과정은?

정답: 1 ( 순회 )

문제 3: 파일 python.txt에 텍스트 데이터를 추가하려고 할 때 빈 칸에 들어가야 할 것은?

모든 트랜잭션 순서쌍 Ti와 Tj에 대해, Ti가 기록한 데이터 항목을 Tj가 읽는다면, Ti의 커밋이 Tj의 커밋보다 먼저 나타나는 스케줄

 

정답: 4 ( "a" )

 

 

  1.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또는 처리된 데이터와 정보가 임시적으로 연속된 바이트의 형태로 저장된 상태이다.
  2. 파일은 연속된 바이트와 파일의 시작, 파일 포인터, 파일의 끝(EoF)으로 구성된다.
  3. 파일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에 따라 텍스트 파일 바이너리 파일로 구분된다.
  4. 파이썬은 인터프리터에서 파일의 시작, 파일 포인터, 파일의 끝을 활용하여 데이터 읽기, 쓰기를 위한 함수를 제공한다.
  5. 파일은 파일 객체 생성, 읽기/쓰기/추가하기 작업, 파일 객체 삭제 과정을 통해 처리된다.
  6. 파일의 이름은 파일의 고유 식별자 역할 및 저장장치 내부에서 파일의 위치를 표현하는 파일경로를 내포한다.
  7. 딕셔너리는 키와 값의 쌍(pair)을 저장하는 시퀀스이다.

13강 실전 프로그래밍 1

문제 1: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라이클의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정답: 1 ( 계획,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 )

문제 2: 다음의 EDP 구동 구조에서 이벤트 발생 장치에 발생된 이벤트가 처리되기 전까지 저장되는 저장 구조는?

정답: 3 ( 이벤트 큐 )

문제 3: 일괄적으로 모아놓은 대량의 데이터를 특정시간에 지정한 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하는 프로그램은?

정답: 2 ( 배치 프로그램)

 

  1.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사이클이란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 수립부터 폐기까지 전체적인 흐름을 체계화하여 고품질의 소프트웨어 생산을 위한 체계를 말한다.
  2.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사이클은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 시 자원을 투입하여 초기에 예상한 대로 결과물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3.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사이클은 계획,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의 순서로 진행된다.
  4. 배치 프로세스란 일괄적으로 모아놓은 대량의 데이터를 특정시간에 지정한 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하는 과정 또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5. 게임은 입력장치, 타이머, 프로그램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기반 프로그램이다.
  6. 이벤트란 프로그램에 의해 감지되고 처리될 수 있는 동작이나 사건이다.
  7. 게임은 게임 초기화 후, 이벤트 검사, 이벤트 처리, 게임 업데이트, 화면 생성, 화면 업데이트 과정을 무한히 반복하는 게임 루프로 구성된다.
  8. 틱택토는 두 명의 플레이어가 3×3 판에 번갈아가며 O와 X 표시를 기록하여 같은 표시를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상에 일직선으로 먼저 놓이도록 하는 게임이다.

14강 실전 프로그래밍 2

문제 1: 다음 함수에서 0 또는 1의 난수 값이 생성되어 0, X가 반환될 수 있도록 random 모듈의 설명을 참조하여 빈칸에 들어갈 수 있는 표현을 작성하면?

정답: 2 ( random.randint(0, 1) )

문제 2: 다음 2차원 리스트에서 파란색 원소에 접근하기 위한 표현은?

정답: 2 ( distance[2][3]   )

문제 3: 다음은 dist라는 이름의 0으로 초기화된 3 X 3 크기의 2차원 리스트 생성하는 코드이다.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표현은?

정답: 4 ( [ ] 또는 list( )  )

 

  1. 단일 식별자로 순서화된 값의 집합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을 리스트라고 한다.
  2. 2차원 리스트는 행 인덱스라는 1차원 리스트를 가리키고 있으며 행 인덱스의 각 원소가 열 인덱스라는 또 다른 1차원 리스트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3. 2차원 리스트의 순회는 각 차원을 순차적으로 순회하기 위한 2개의 반복 구조가 중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시스템 1강 (리눅스소개)  (0) 2024.08.19
운영체제 (기말 준비)  (0) 2024.05.27
JAVA (기말 준비)  (0) 2024.05.26
알고리즘 (기말 준비)  (0) 2024.05.26
인공지능 (기말 준비)  (0) 2024.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