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is

심리학에게 묻다 2강 (교양) 본문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심리학에게 묻다 2강 (교양)

menstua 2024. 8. 30. 11:27
728x90
강의개요
  1. 부모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정서적 유대감을 애착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애착은 부모와의 관계는 물론이고 이후 대인관계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이 장에서는 애착 연구가들의 주요 업적을 고찰함으로써 애착의 개념이 현재 어느 정도로 확장되어 있으며, 애착의 유형은 어떻게 구분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최근 발달하고 있는 뇌과학적 지식을 통해 애착 형성과 변화의 생물학적 근거를 살펴보고 불안정 애착의 변화를 위한 심리사회적 개입방안을 학습할 것이다.
 강의목표
  1. 애착의 개념과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애착과 관련된 학자와 주요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3. 애착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4. 애착의 세대 간 전이와 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획득 안정 애착과 공명회로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애착의 변화 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다.
 주요용어
  1. [애착]
    양육자나 특별한 사회적 대상과 형성하는 친밀한 정서적 관계
  2. [내적 작동 모델]
    부모와의 애착을 기반으로 하여 타인 또는 대인관계에 대해 형성한 도식이나 내적 표상
  3. [정신화]
    마음을 갖는 것이 세상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좌우한다는 것에 대해 우리가 깨닫는 과정
  4. [획득 안정 애착]
    누군가와의 관계를 통해 새롭게 얻은 안정 애착
심리학 연습
  1. 나와 부모님의 관계에 대해 묘사해 보고, 부모님 각각을 묘사하는 형용사 5개씩을 적어 봅시다. 그리고 그와 관련된 일화나 사건을 적어 봅시다.
  2. 부모님 외에 내가 맺고 있는 친밀한 관계를 떠올리고 그(들)와의 관계에서 나의 행동 유형을 분석해 봅시다.
  3. 내가 관계에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그것을 가로막는 것이 무엇인지, 이를 얻기 위해 무엇이 달라져야 하는지 생각해 봅시다.
 강의요약
  1. 애착은 유아가 양육자나 그 밖의 특별한 사회적 대상과 형성하는 친밀한 정서적 관계를 말한다. 애착과 관련하여 주요 연구가들의 이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대표적인 학자인 볼비는 부모와의 애착을 기반으로 하여 타인 또는 대인관계에 대해 형성한 도식이나 내적 표상을 가리켜 내적 작동 모델이라고 명명하고, 부모와 맺은 관계가 내적 작동 모델을 통해 이후의 대인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으로 재생된다고 주장하였다. ② 할로는 어린 원숭이와 인공 대리모 실험을 통해 포유류의 생존에 있어 부드럽고 따뜻한 대상이 매우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③ 에인스워스는 12~18개월 된 유아와 엄마의 자유놀이, 분리와 재회 등 일련의 과정에서 유아가 보이는 행동을 관찰하고 이를 안정 애착, 불안정 애착-회피형, 불안정 애착-저항/양가형 등으로 유형화하였다. ④ 메인은 하나의 유형으로 분리되지 못했던 불안정 애착-혼란형을 발견하였고, 성인애착 면접을 통해 애착이 특정 관계에서 보이는 행동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표상적 과정임을 보여 주어 볼비가 언급한 내적 작동 모델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⑤ 포나기는 마음을 갖는 것이 세상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좌우한다는 것에 대해 우리가 깨닫는 과정인 정신화를 통해 불안정 애착의 순환을 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 애착 유형은 크게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으로 나뉘며, 불안정 애착은 다시 불안정 애착-회피형, 불안정 애착-저항/양가형, 불안정 애착-혼란형으로 세분화된다. 안정 애착 유형의 아이는 양육자와 헤어지면 슬퍼하지만 주변의 성인이 다독이면 쉽게 평정을 되찾고 엄마를 다시 만났을 때 즐겁게 반긴다. 아이의 요구에 부모가 재빠르고 적절한 반응을 보였기 때문에 안정 애착이 형성될 수 있었던 것이다. 불안정 애착-회피형은 엄마와 헤어져도 슬퍼하지 않고 돌아와도 반기지 않는 독립적인 유형이다. 이들은 부모로부터 지속적인 거절을 받아 왔기 때문에 부모와 가까워지고자 하는 기본적인 욕구에 무관심해진 것이다. 불안정 애착-저항/양가형은 엄마와 헤어지면 평정을 되찾기 어렵지만, 막상 엄마가 돌아와도 거절하거나 돌봐 달라는 요구를 암시적, 소극적으로 전달한다. 이들의 욕구가 부모에 의해 일관되게 다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은 세상을 탐색하기보다 양육자에게 매달린다. 불안정 애착-혼란형은 부모가 안전 기지이면서 동시에 위험과 불안의 원인이기도 한 경우로, 학대받은 아이들에게서 자주 관찰된다.
  3. 초기 대인관계에 대한 기억은 암묵적 관계 기억으로 남게 되어 정확히 언어적으로 그 내용을 설명할 수 없으나 개인에게 내재되어 다른 사람에 대해 기대하고 행동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같은 맥락으로 애착은 세대 간에 대물림되며 부모-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직장 동료, 상사-부하 관계, 이성관계 등 대인관계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