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is

심리학에게 묻다 3강 (교양) 본문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심리학에게 묻다 3강 (교양)

menstua 2024. 9. 5. 08:20
728x90
강의개요
  1. 눈에 보이는 행동은 보이지 않는 정체감에서 나온다. 이러한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번 강의에서는 우리 삶의 문제 이면에 숨겨져 보이지 않는 수치정체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강의목표
  1. 수치심의 의미와 원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의도적 학대와 비의도적 학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수치정체감의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다.
  4. 다양한 중독 문제와 수치정체감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주요용어
  1. [수치심]
    타인에게 실제 혹은 가상의 부정적 판단을 받았다고 느낄 때 경험되는 불쾌한 정서
  2. [수치정체감]
    나는 수치스러운 존재이다’라고 생각하는 것
  3. [의도적 학대]
    신체적・언어적・정서적 고통을 의도적으로 가하는 것
  4. [비의도적 학대]
    주어서는 안 될 것을 주거나 반드시 주어야 할 것을 주지 못해서 생기는 현상
심리학 연습
  1. 수치심이라는 감정에 대해 생각해 보고 수치심을 다룬 책이나 영화 등을 소재로하여 토론해 봅시다.
  2. 수치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토론해 봅시다.
  3. 문제행동과 정체감의 관계,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관계에 대해 생각하고 토론해 봅시다.

 

 강의요약
  1. 수치심은 타인에게 실제 혹은 가상의 부정적 판단을 받았다고 느낄 때 경험되는 불쾌한 정서이며, 무엇보다 자신을 부적절하고 무가치하고 무력하게 느끼고 전체 자기를 부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일어나는 고통스러운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2. 수치심은 건전한 수치심, 완벽주의적 수치심, 귀속적 수치심, 독성 수치심, 무수치심의 다섯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3. 의도적 학대 또는 능동적 학대는 상대방에게 신체적・언어적・정서적 고통을 의도적으로 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 방치나 방임과 같이 부모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녀가 외상을 경험하는 것을 비의도적 학대, 수동적 학대라고 할 수 있다.
  5. 학대와 관련된 양육환경에 지속적,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수치정체감이 형성될 수 있다.
  6. 수치정체감은 나 자신을 수치스러운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이며, 수치정체감이 형성되면 두려움과 통제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는 중독 문제의 뿌리가 된다.
  7. 수치정체감을 형성한 사람은 수치반응을 보이게 된다.
  8.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정서적 조절장치가 내재화되지 못하면 자신의 정서를 달래기 위해 외부에 의존하는데 이것이 각종 중독 문제로 나타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