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is

심리학에게묻다 10강 (삶의 폭풍 지나가기) 본문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심리학에게묻다 10강 (삶의 폭풍 지나가기)

menstua 2024. 10. 28. 08:15
728x90
강의개요
  1.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나 쓰러지고 다치고 영영 다시 일어나지 못할 만큼 타격을 받기도 한다. 이 장에서는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의 심각한 고통을 수반하는 외상(trauma)을 경험할 때 어떤 임상적 특징을 보이는지, 이런 외상이 심각한 적응장애를 초래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 내려질 때 그 심리적 기제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외상에 압도되어 쓰러지는 것이 아니라, 외상 경험을 삶의 일부로 통합하고 그것을 디딤돌 삼아 더욱 성장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강의목표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주요 임상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하위 장애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설명하는 이론을 설명할 수 있다.
  4. 외상 후 성장의 의미를 이해하고 필수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5. 외상 경험을 다루고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익혀 삶에 적용할 수 있다.
 주요용어
  1. [외상(trauma)]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심각한 심리적 고통을 수반하는 스트레스 사건
  2. [스트레스 반응 이론]
    외상 정보가 기존의 사고 체계에 인지적으로 통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
  3. [박살 난 가정 이론]
    PTSD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신념의 특성을 인지적 관점으로 살펴보는 이론
  4. [정서처리 이론]
    외상 사건의 정서적 정보들과 기본적인 기억 구조와의 통합 조건 제시
심리학 연습
  1. 내 삶에서 가장 고통스러웠던 상실에 대해 적어 봅시다.
  2. 위에 적은 상실이 나에겐 어떤 의미인지 설명해 봅시다.
  3. 내가 겪은 상실 혹은 외상을 아직 극복하지 못했다면, 10장의 내용을 다시 읽어 보고 그러한 상실 또는 외상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또 다른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계획해 봅시다.
 강의요약
  1. 외상은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의 심각한 고통을 수반하는 사건을 의미한다. 때로는 남들이 보기에는 별로 대단하지 않더라도 개인에게 주관적으로 큰 고통을 수반한다면 외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DSM-5에서는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범주에 5개의 하위 장애를 두고 있는데 적응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급성 스트레스 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가 그것이다.
  2. PTSD의 임상적인 주요 특징은 네 가지로 구성된다. 외상 사건에 관한 악몽이나 이미지 등으로 의도하지 않아도 반복적으로 재경험되는 침투 증상, 외상을 떠오르게 하는 흔적, 감정, 생각에의 회피, 부정적인 인지와 기분, 그리고 과잉각성과 지나친 반응성 등이 그것이다.
  3. PTSD의 발생 기제를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외상 정보가 기존의 사고 체계에 인지적으로 통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스트레스 반응 이론, 자신과 타인, 세상에 대해 갖고 있던 신념이 외상 경험으로 인해 파괴되기 때문으로 설명하는 박살 난 가정 이론, 외상 사건의 정서적 정보들과 기본 기억 구조와의 통합 조건을 제시하며 PTSD 해결을 위해 지연된 노출법을 제안하는 정서처리 이론 등이 있다.
  4. 외상 후 성장은 외상 사건 혹은 위기를 경험한 이후에 개인이 이전에 가지고 있던 심리 기능이나 적응 수준, 혹은 삶에 대한 인식 수준을 넘어서는 발달을 이루고 이에 대해 지각하게 되는 심리적 변화를 일컫는다.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려면 외상 사건의 원인, 의미, 삶에 미친 영향을 의도적으로 되짚어 보는 의도적 반추가 반드시 필요하다.
  5. 의도적 반추를 돕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기노출의 방법이 권장된다. 여기에는 ① 꿈 일지나 자신과의 대화와 같은 글쓰기나 말하기, ② 자신의 인생을 행복감과 좌절의 측면에서 척도화해 그래프로 제시하는 인생 그래프 등이 있다.
  6. 가까운 사람과 사별을 해서 생긴 외상에 대해서는 적응적 애도를 돕는 방법이 제10장 삶의 폭풍 지나가기 229 필요하다. 여기에는 고인과의 관계에 대해 재조명해 보는 ‘이 사람을 소개합니다’, 고인과의 재회를 상정해 작성하는 편지인 ‘다시 만나서 반갑습니다’, 고인에 대해 감사할 이유를 찾고 적어 보는 ‘감사편지’, 고인을 기억하고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고인에 관한 얘기를 들어 보는 ‘고인과 관련된 기억에 대한 면담’ 등의 방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