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is
운영체제 12강 (저장장치 및 파일 관리) 본문
728x90
학습개요
- 지난 강의에서 입출력장치의 전반적인 관리를 살펴보았는데, 이 장에서는 그러한 장치 중 저장장치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봅니다. 특히 디스크는 컴퓨터 시스템이 동작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장치로 디스크의 효율적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저장장치와 관련하여 파일 관리자는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파일을 제어하고 관리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저장장치의 종류를 살펴보고, 자기 디스크 장치의 특성과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봅니다. 또한 파일 관리자의 기본적인 개념을 살펴봅니다.
학습목표
- 저장장치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 다양한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명할 수 있다.
- 파일 관리자에 대해 이해하고 디스크 공간 할당을 설명할 수 있다.
정리하기
- 저장장치는 순차접근 저장장치와 직접접근 저장장치로 나뉜다.
- 직접접근 저장장치인 자기 디스크의 접근 요구 처리 시간은 탐구시간, 회전지연시간, 전송시간으로 구성된다.
- 디스크 스케줄링은 디스크 접근 요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작업으로, 탐구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SSTF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헤드 위치로부터 탐구시간이 가장 짧은 접근 요구를 먼저 처리하는 방법이다.
- SCAN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양 끝 트랙 사이를 왕복하며 진행방향의 가장 가까운 접근 요구를 먼저 처리하는 방법이다.
- C-SCAN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정해진 한 방향으로만 가장 가까운 접근 요구를 먼저 처리하는 방법으로, 트랙의 끝에 도달하면 반대편 트랙 끝으로 이동한 후 다시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법이다.
- LOOK과 C-LOOK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진행방향의 앞쪽에 더 이상 접근 요구가 없으면 바로 방향을 바꾸는 방법이다. 이때 C-LOOK 스케줄링은 반대편 트랙 끝까지 이동하지 않고 가장 먼 접근 요구의 트랙까지만 이동한다.
- SLTF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회전지연시간 최적화를 위한 알고리즘으로, 동일 실린더에서 회전지연시간이 가장 짧은 접근 요구를 먼저 처리하는 방법이다.
- 파일 관리자는 파일의 생성 · 수정 · 삭제, 파일의 공유 및 액세스 제어, 백업, 정보 보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12강 (스트링 알고리즘) (0) | 2024.05.10 |
---|---|
인공지능 12강 (신경회로망) (0) | 2024.05.09 |
알고리즘 11강 (동적 프로그래밍) (0) | 2024.05.02 |
인공지능 11강 (기계학습) (0) | 2024.04.30 |
운영체제 11강 (장치관리) (0)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