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is
인공지능 10강 (기계 학습) 본문
728x90
학습개요
- 인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학습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지식을 바탕으로 동작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에서 갖추어야 할 핵심적인 능력이다. 이번 강의에서는 귀납적 추론이라는 학습에 대한 기본적인 아이디어와 이를 컴퓨터를 통해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습목표
- 일반적인 학습 방법에 대한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귀납적 학습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결정트리 학습의 구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주요용어
- 지도학습 : 입력과 이에 대해 기대하는 출력을 학습 데이터로 제시하여 입력에 대한 시스템의 출력이 기대하는 출력과 같아지도록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학습 방법
- 자율학습 : 입력값만으로 구성된 학습 데이터 집합을 사용하여 유사한 입력에 대해서는 동일한 출력을 내도록 학습한다.
- 강화학습 : 에이전트는 현재의 환경에 대해 행동을 결정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라 변화된 환경과 함께 보상을 받는다. 이를 통해 에이전트는 일련의 행동에 따른 보상을 최대화 하는 정책을 개발한다.
- 귀납적 추론 : 반복적인 관찰이나 경험을 기반으로 해서 일반화된 논리를 이끌어 내는 추론방법
- 결정트리 : 분할정복 방식으로 입력공간을 분할함으로써 입력된 대상을 분류하거나 회귀분석을 하기 위한 트리
정리하기
- 기계학습이란 인공지능 시스템이 지능적 행동능력을 갖기 위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 내부에 지식을 형성하고 저장하는 과정이다.
- 학습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지도학습, 자율학습, 강화학습 등 여러 가지 학습 방법이 존재한다.
- 귀납적 추론은 학습을 위한 기본적 토대로서, 반복적인 관찰이나 경험을 기반으로 해서 일반화된 논리를 이끌어 내는 추론을 한다.
- 결정트리는 입력 공간을 분할하는 트리이다. 루트 및 내부 노드는 공간을 분할하는 조건을 판단하는 함수를 갖고 있으며, 잎 노드는 최종적인 분할영역을 나타내는 노드로, 입력에 대한 출력 값을 갖고 있다. 노드의 불순도를 구하여 불순도가 큰 노드를 적절한 특징을 기준으로 분할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하며, 지도학습 방식을 따른다.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11강 (장치관리) (0) | 2024.04.29 |
---|---|
알고리즘 10강 (그래프) (0) | 2024.04.25 |
운영체제 10강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0) | 2024.04.23 |
운영체제 9강 (가상 메모리) (0) | 2024.04.22 |
인공지능 9강 (컴퓨터 시각과 패턴인식) (0) | 2024.04.22 |